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Statistical TDM) 기존에 배웠던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STDM)는데이터 유무와 상관없는 고정된 시간 슬롯, 이로인한 비효율성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었다. 반면,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Statistical TDM)는 필요한 경우에만 시간 슬롯을 할당하는 동적 할당을 사용하여 대역폭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이 과정에서 데이터 전송 순서를 관리하고, 충돌 방지를 위해 버퍼링을 사용한다.주로 네트워크 트래픽이 불규칙한 환경에서 더 효과적이다. STDM은 대신 구조가 단순한 대신 일정한 속도 보장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러면 ATDM 역시 동적으로 시간 슬롯을 할당받는데, Statistical TDM이랑 무슨 차이인가 싶다.확실히 서로 비슷한 동적 할당 개념이지만, A..
SONET 시스템 SONET(Synchronous Optical Network)은 미국에서 개발되었으며,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에 의해 표준화된 고속 광섬유 통신을 위한 표준이다.주로 북미 지역에서 사용된다. 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는 SONET과 같지만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표준으로, ITU-T(국제전기통신연합 표준화 부문)에 의해 개발됐다.대부분의 다른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사용 지역만 다를 뿐, 각 표준 서로 원활하게 호환된다. 이정도로는 아직 SONET에 대해 이해가 안간다. 별로 와닿지가 않아서..저번에 배운 osi 계층구조랑 연관지어보면 주로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에 연관되어서..
다중화(Multiplexing)는 여러 저속 전송 속도의 채널을 하나의 고속 전송 링크로 통합하여 전송하는 기술이다.이렇게 각각의 저속 채널을 개별적으로 전송하는 것보다 하나의 고속 링크를 사용하는 것이 자원 활용 면에서 훨씬 효율적이다.이를 통해 대역폭을 최대로 사용할 수 있다. 시간 분할 다중화 TDM 시간 분할 다중화(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는 여러 채널의 데이터를 하나의 고속 전송 링크로 전송할 때, 시간을 나누어 각 채널이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즉,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대신 각 채널이 일정 시간 동안 고속 링크를 독점적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합니다. 예시: 디지털 전화 시스템에서 각 통화..
OSI란,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 의해 정의된 Open System Interconnection(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 모델이다.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논리에 변화 없이 다양한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IP 주소가, 전송 계층에서는 포트 번호가 데이터에 추가되는 것을 보여주는 그림) OSI 모델은 7개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응용 계층(Application):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계층표현 계층(Presentation):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하고 암호화를 처리세션 계층(Session):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유지, 종료하는 역할전송 계층(Transport):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네트워크 계..
통신 표준은 서로 다른 장치와 시스템이 일관되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이를 통해, 네트워크 상에서 호환성과 상호 운용성을 보장할 수 있고, 데이터가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전송될 수 있다. 국제 표준화 기구들은 이러한 표준을 개발하여, 통신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기여하고 있다. 통신 표준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통신 아키텍처시스템의 구조와 구성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을 정의한다. 네트워크 계층 구조, 데이터 흐름 등이 포함되며, 이는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어떻게 흐르는지 설명함으로서 네트워크 설계와 통신 프로세스의 기본적인 틀을 제공한다.주소 체계네트워크 내에서 장치나 사용자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 상의 모든 장치에 고유한 ..
부동 소수점 수의 일반적인 표현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S는 부호비트이다.0일 경우 양수, 1일 경우 음수를 나타낸다. 부동 소수점에서 실수를 표현할 때는, 유효 숫자 부분이 항상 1.0 이상 2.0 미만이 되도록 정규화시킨다.(1.xxxx 형식으로 정규화)즉, 실수를 2진수로 나타낼 때, 소수점 앞에 항상 1이 존재하게 된다. 유효 숫자의 나머지 부분은 Fraction이라고 부른다.즉, 실제로 저장되는 부분은 1을 제외한 소수점 이하의 값이다.예를 들어, 1.1101과 같은 숫자라면, 1은 저장하지 않고 소수점 이하의 "1101"만 저장된다. 지수는 실수에서 소수점 위치를 나타낸다. 하지만 지수는 단순히 음수나 양수로 표현되지 않고, Bias라는 값을 더해서 저장한다.이는 지수를 부호가..